11년 동안 키워온 둘째딸이 알고 보니 다른 사 람의 자식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이혼소송을 낸 40대 남자의 기막힌 사연이 뒤늦 게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공무원으로 20여년을 근무해온 A(49)씨는 지난 86년 같은 직장에서 만난 B(40) 씨와 9살이라는 나이 차를 딛고 결혼했다.
결혼후 첫째딸에 이어 둘째딸이 태어나자, 직장을 계속 다녀야 하는 처지에 있 던 A씨의 부인은 둘째딸을 자신이 잘 알고 지낸다는 직장 동료 C(40)씨의 부모에게 맡겨 키우자고 남편에게 제안, 결국 부부가 출근해 있는 동안 애를 맡겨 키워왔다.
그러다 보니 A씨는 C씨 집안과 무척 가까운 사이가 됐고, C씨의 아버지도 A씨 집에 자주 찾아와 애들을 봐주곤 했다.
이렇듯 여느 가정과 다를 바 없이 10여년을 살아온 A씨에게 청천벽력과도 같은 소식이 전해진 것은 지난해 10월.
고등학교에 다니던 큰딸(당시 16세)이 갑자기 가출을 한 뒤 돌아와 이유를 다그 쳤더니, 그동안 왕래가 잦던 C씨의 아버지(70)로부터 초등학생 때부터 상습적으로 성폭행을 당해왔다는 것이다.
이에 분노한 A씨는 C씨의 아버지를 경찰에 고발했지만 이상하게도 아내는 오히 려 '딸애가 거짓말을 한다"며 C씨 부친을 두둔하고 나섰다.
아내의 태도에 이상한 느낌을 받은 A씨는 우연히 백화점에서 아내가 둘째딸을 데리고 C씨와 다정하게 쇼핑을 즐기는 것을 본 뒤 설마하는 생각으로 아내 몰래 병 원에서 유전자 검사를 받았고, 며칠 뒤 의사로부터 '둘째 딸은 당신 딸이 아니다'는 통보를 받았다.
A씨는 결국 수개월동안 고민 끝에 아내를 용서할 수 없다며 지난 8월 이혼소송 을 내 현재 이혼소송이 진행중이다.
A씨는 소장에서 "주변에서 둘째딸이 C씨의 모친을 `쏙 빼닮았다'는 말을 자주 들어오긴 했지만 작은 딸이 그 사람들과 가까이 지내서 그런가 보다 생각했지 세상 에 어떻게 이런일이 있을 지 상상이나 했겠느냐"고 기막힌 사연을 호소했다.
A씨는 "자식도 아내도 모두 잃어버렸다. 간통죄의 공소시효도 훨씬 지나버린 지 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위자료를 받아내는 법정싸움 밖에 남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A씨의 아내 B씨는 이혼소송 답변서를 통해 "둘째딸을 임신하기 전 만 취상태에서 C씨가 나를 성폭행했던 적이 있다는 말을 이번에 C씨로부터 들었다"며 " 지금까지 둘째딸이 C씨의 아이인줄은 정말 몰랐다"고 말했다.
jslee@yna.co.kr
내~참~ 별의별 일이 다있고 별의별 뉴스가 다 난다.
얼마전에 뉴스를 듣다가, "시중 판매되는 공기청정기가 알고보니, 60% 정도의 효과밖에 못낸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를 "시중 판매되는 공기청정기가 알고보니 60% 정도의 효과를 더 내준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로 잘못들었다.
그런 행복하고 유쾌한 뉴스만 방송되는 날이 왔으면.
* 감독: 유준석
* 소재: DV
* 색: color
* 장르: drama
* 시간: 21분
* 제작연도: 2004년
- 시놉시스
모두 떠난 파티현장에 사체가 발견되었다. 증거라고는 파티상황을 녹음한 녹음기 하나! 강력반 심권진 형사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서 음성분석가로 명성을 날렸던 김기하에게 수사를 의뢰한다. 김기하는 녹음기에 녹음된 소리만 가지고 아주 독특한 방법으로 용의자들을 추적해 나간다. 범인을 추적해 내며 겨우 한명을 추려내지만...
영화의 반전! 숨은 소리는 무심히 넘겨왔던 다른 소리에 있었다.
▶ 제 8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판타스틱단편걸작선 부문
▶ 제 3회 미쟝센단편영화제 시나리오상 수상
▶ 제 5회 전주죽제영화제 "한국단편의 선택:비평가주간"
- 연출의 변
짧은 단편에 가능한 독특한 스릴러 영화. 충분히 관객이 즐길 수 있는 극영화적 기승전결과,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독특한 스릴러 연출방식을 조화시키는 것을 시도하고 싶었다.
- 감독 프로필
유준석 감독
1979년 서울 출생
1999년 단편영화 < STEAM >제작, 시나리오, 촬영, 연출
2000년 단편영화 < 3 > 제작, 시나리오, 연출
2004년 단편영화 < 인비지블 1: 숨은 소리 찾기 > 제작, 시나리오, 연출
e-mail : steaman@hanmail.net
여기저기 다닐 때 이 배너 본 적 있는데, 뭔지 몰랐다.
근데 쫌전에 어느 블로그에 들어갔을 때 이 배너를 다시 봤다.
그래서 그냥 한번 눌러봤지.
스팸 로봇이 돌아다닐 때 링크 걸어논 페이지로 들어오면,
이 안티스팸 링크로 흡수돼서 가짜 이메일 주소를 받아간다고 한다.
이거 진짜야? 그렇다면 정말 신기한데?
뭐 내 블로그엔 스팸당할 거 뭣도 없지만,
이거 하나 다는 것만으로 스패머들에게 엿먹일 수만 있다면야~ ㅋㅋ
기념으로 예전에 스팸메일 생각못하고 달았다가 냉큼 지워버렸던 쥐메일 링크나 달아볼까?
나는 홈페이지니 도메인이니 뭐 그런것들 잘 모르니...
얼마전에야 다른 블로그에서 우리나라도 빨리 .kr 도메인을 도입해야한다는 글을 봤다.
사실 그 전까진 그런거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그러고보니 .uk .jp .cn 기타등등 있는데 우리나라엔 .kr이 없다. co.kr, pe.kr, ac.kr, or.kr, 뭐 그런것만 있을뿐.
월드컵때 한참 corea에 대한 논쟁이 붙었던 기억이 나 그냥 우스갯소리반 진심반으로 그 글에 "저는 .cr 생기면 할래요~~~"하는 덧글을 남겼었다.
그냥 오늘 갑자기 우리나라에서 2단계 도메인인 .kr을 도입하지 않는 구체적 이유가 궁금해져 검색을 했다.
그랬더니 놀랍게도 도입반대 안티사이트가 뜬다.
그냥 글 의견 몇개만 읽었는데, 별로 이해가지 않는 글만 골라 읽었나보다.
대충 다들 "돈 벌어먹으려는 수작이다."는 뜻의 글들이었는데, 원래 도메인 쓰려면 다 돈내야되는거 아닌가? 원래 com이나 co.kr을 쓰던 사이트들에서 자신들 사이트 이름을 빼앗기지 않으려면 또다시 kr이라는 도메인을 돈내고 사야하기 때문에, kr이라는 도메인을 하나 추가함으로써 생기는 수익을 위한 거란 말인건가? 도통 모르겠네 그려.. 헛헛.. 긁적긁적...^^;
지금으로선 왜 .kr을 도입하지 않는건지, 왜 .kr 도입을 반대하는건지 잘 모르겠다.
나중에 다시 한번 찾아봐야겠다.
아까 OCN에서 해주드라...
여느때같으면 이런 영화 안봤을텐데, 그냥 어쩐지 땡겨서 봤다. 시작하는 타이밍도 맞았고...
내가 모르는 사이 개봉했고, 또 내렸던 영화. ㅎㅎ
마음이 차분해지고 지나간 여름이 괜히 그리워지는 영화다.
잔잔한 동화책 한권 읽은 느낌.
뭐 엄청나게 재밌는 영화가 아니니 흥행엔 실패했겠지만, 느낌은 꽤나 괜찮은 영화다.
블로그를 시작한게 작년 초든가...
네이버 블로그는 워낙에 시작하기가 쉬워 쓰던 아이디별로 블로그를 건드리다 보니,
본의아니게 블로그를 옮겨다니던 것도 수차례...
어차피 그것은 네이버 블로그 안에서였으니,
탈 네이버를 수없이 꿈꾸다, 이제 드디어 자유의 몸이 됐다!!! ㅎㅎ
이글루스로 갈까 설치형을 쓸까 왔다리 갔다리 결정을 계속 번복,
결국엔 백업의 편리함을 이유로 태터툴즈를 쓰게 됐다.
블로그툴에 대해 아는게 없어,
지금은 가장 기본에서 시작하지만, 쓰면서 실력이 늘길 바랄 뿐이다.